가뭄 대책으로 ‘오염수’쓰겠다는 정부
본문 바로가기
  • 조금씩 천천히..
정보

가뭄 대책으로 ‘오염수’쓰겠다는 정부

by 별다람 2023. 4. 3.
728x90
반응형

광주ㆍ전남 지역에 계속되는 가뭄

 

정부가 상대적으로 수량이 풍부한 댐의 물을 끌어올 관로를 설치하고, 하수도 공업용수로 공급하기로 했다. 또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된 ‘죽은 물’도 사용하고 4대강 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광주·전남 지역의 심각한 가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 공급체계를 조정하고, 대체 수자원을 개발해 하루 61만t의 용수를 추가 확보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중장기 가뭄대책을 3일 발표했다. 환경부는 관계기관 협의, 국가물관리위원회 심의·의결 등을 거쳐 이달 안으로 중장기 가뭄 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중장기 가뭄 대책은 1·2단계로 나뉜다. 1단계 기본대책에는 물 공급체계 조정, 신규 수자원 확보, 수요 관리 및 제도 개선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환경부는 1단계 대책을 통해 영산강·섬진강 유역 댐(주암댐, 수어댐, 섬진강댐, 평림댐, 장흥댐, 동복댐)별로 하루 45만t의 용수를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는 주암댐이 광주, 목포 등 영산강 유역 6개 시군에 하루 48만t을 공급하고 있는데 이 중 일부(하루 10만t)를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장흥댐에서 대체 공급할 수 있도록 주암댐과 도수관로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장흥댐과 주암댐 연계로 확보된 여유 물량을 여수산단에 공업용수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사천 취수장부터 여수산단까지 도수관로(45.7㎞)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여수시 공공하수처리시설 내에는 하수 재이용수 생산시설을 설치해 여수산단에 공업용수로 공급할 계획이다. 발전 온배수 등을 활용한 해수 담수화 시설을 건설해 여수산단 내 공업용수가 필요한 업체에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연간 4200만t의 수돗물 누수를 막기 위해 2035년까지 노후화된 상수관망을 교체·개량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연간 누수량 규모는 여수시민이 한해 사용하는 물과 맞먹는다.

 

2단계 비상대책의 핵심은 기후변화로 ‘극한 가뭄’이 발생할 것을 가정해 최소한의 생활·공업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루 16만t 이상의 용수를 추가로 확보하는 것이다. 환경부는 극한 가뭄이 발생하면 댐 저수위보다 아래 수위인 비상 용량과 사수(死水) 용량까지 활용해 생활·공업 용수를 공급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사수는 댐의 바닥에서부터 비상방류구 사이의 물인데 대체로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돼 있다. 환경부는 또 섬진강 유량이 풍부한 시기에는 어민 피해가 없는 범위에서 섬진강물을 추가 취수해 산단에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환경부는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본류의 16개 보를 물그릇으로 최대한 활용해 가뭄에 도움이 되도록 운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본류와 지류의 수심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해 가뭄 대응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핵심이다.

 

보를 이용해 4대강의 물그릇을 키우는 방안은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추진할 때 내세웠던 이유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때부터 문재인 정부의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전남 순천 주암조절지댐을 찾아 “방치된 4대강 보를 최대한 활용하라”고 지시했다. 지난해 국정감사 때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금강과 영산강 보 상시개방·해체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섬 지역 중장기 가뭄대책으로는 해수침투 방지, 생활용수 확보 차원의 지하수 저류댐 설치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하수 저류댐은 완도 보길도에 지난해 12월 설치됐으며 신안 우이도 및 대둔도, 완도 청산도, 여수 낭도 등 후보지에 대한 조사·검토가 진행 중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